탄성초음파

홈으로_ 초음파_ 탄성초음파

 

더욱 정확한 악성종양 진단을 위한 탄성 초음파 검사 

  

 글나누기 줄

 

말머리 기호 초음파 탄성 영상이란 무엇인가요?

 

초음파 탄성영상은 조직 탄성의 재조합을 이용한 검사법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 조직의 변형이나

왜곡을 반영하여 병변 부위 조직의 단단함 정도에 따른 탄성도의 차이를 영상화한 검사법입니다.

 탄성초음파 검사부위 

 

말머리 기호 탄성 초음파 검사는 언제 하나요?

  

갑상선 결절, 유방 종괴, 연조직 종양, 전립선 종양에서 양성과 악성을 감별하기 위해서 시행됩니다.

기존의 초음파는 병변과 주위 조직의 변형, 침윤, 석회화등을 통해 악성과 감별하였지만,

탄성 영상은 획득한 정보를 영상화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민감한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초음파와 병행하여 탄성 초음파를 시행할 경우 악성 종양에 대한 진단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간 질환의 경우 간경화 진단에 유용합니다. 간경화가 진행되기 시작하면 간이 딱딱해지기 시작합니다.

이런 병리학적 성질에 탄성 초음파를 이용할 경우 조기 간경화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말머리 기호 탄성 초음파 검사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검사 시 특별한 처치는 필요 없으며, 기존 초음파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초음파 검사 도중 병변이 발견될 시 저희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탄성 초음파 도시바 Aplio장비를 이용하여

병변 부위에 시술자가 탄성을 가하고 이때 얻은 정보를 컴퓨터가 분석하여 영상으로 제공합니다.

이를 바땅으로 병변의 특성을 파악합니다.

 

 

 말머리 기호 탄성 초음파는 실제 어떻게 사용되나요?

 

아래 그림은 구리속편한내과에서 탄성초음파를 실시하여 영상화한 자료로서 

그림을 보시면, 우측이 기존 초음파로 발견한 갑상선의 미세 결절입니다.

  

 

기존초음파와 탄성초음파를 비교한 갑상선의 미세 결절  

 

 

 기존 영상으로는 단순 양성 결절로 의심될 만한 병변이나, 탄성 초음파 시행한 좌측 사진의 경우

화살표 모양의 상이, 주위 병변과 다른 색깔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변이 딱딱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악성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조직 검사에서 갑상선 유두암이 발견되었습니다. 

 

 

 갑상선유두암 발견 갑상선유두암 발견 

 

이 환자의 경우를 보면 좌측 갑상선에 약 5.6mm크기의 종괴가 관찰됩니다.

악성도를 평가 해  탄성 초음파를 시행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병변과 병변 주위의 3군데

정상 조직의 탄탄성도 비교하였을 때 딱딱함에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현재 조직 검사 없이 추적 관찰 중 입니다.